본문 바로가기
Luminar Technologies

[루미나] 루미나 에어버스와 파트너십 체결

by 인생오십년 2021. 4. 27.

Luminar, the newly public LIDAR company, is teaming up with the largest aircraft manufacturer in the world to bring its laser-guided mapping and perception technology to new heights.

LIDAR, the laser sensor that sends millions of laser points out per second and measures how long they take to bounce back, is seen as a key ingredient to autonomous driving. But it hasn’t seen as much traction in the world of aviation. Luminar and its new partner, the French aerospace giant Airbus, are out to fix that by applying the laser sensor’s 3D mapping capabilities to the aerospace company’s helicopters and fixed-wing aircraft in the hopes of making flying a lot safer.

 새로 공개된 LIDAR 회사인 Luminar는 레이저 유도 매핑 및 인식 기술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 올리기 위해 세계 최대의 항공기 제조업체와 협력한다고 합니다. 초당 수백만 개의 레이저 포인트를 내보내고 되돌아 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LIDAR는 자율 주행의 핵심 요소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항공 세계에서는 그다지 견인력이 없었습니다. Luminar와 새로운 파트너인 프랑스 Airbus는 비행을 훨씬 더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레이저 센서의 3D 매핑 기능을 항공 우주 회사의 헬리콥터와 고정익 항공기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MAKING OVERALL TRANSPORTATION SAFE AND AUTONOMOUS”

 

Specifically, Luminar’s work with Airbus will fall under the aircraft manufacturer’s two innovation-focused projects: its UpNext subsidiary and FlightLab, which uses flight testing as the “principal means of achieving proof of concept for a variety of future technologies developed at Airbus.” Engineers from both companies will work together to “enhance sensing, perception, and system-level capabilities to ultimately enable safe, autonomous flight,” the companies said.

 특히, Luminar와 Airbus의 작업은 항공기 제조업체의 두 가지 혁신 중심 프로젝트인 UpNext 자회사와 FlightLab에 집중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비행 테스트를 "Airbus에서 개발된 다양한 미래 기술에 대한 개념 증명을 달성하는 주요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두 회사의 엔지니어는 "감지, 인식 및 시스템 수준의 기능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안전하고 자율적인 비행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This will be Luminar’s first foray into anything outside the world of autonomous vehicles, Austin Russell, the founder and CEO of Luminar, told The Verge. Russell said he sees linking up with Airbus as an extension of his mission of “making overall transportation safe and autonomous — it’s the same exact story.”

While the number of airplanes that crash every year has been steadily dropping, helicopter crashes — like the one that killed NBA star Kobe Bryant in 2020 — are becoming more common. The rate of fatal helicopter accidents per 100,000 flight hours jumped from 2016 to 2018, according to data released in March 2019 by the US Helicopter Safety Team, a volunteer team of government and industry leaders. The number of fatalities per 100,000 hours also rose.

 Luminar의 창립자이자 CEO인 Austin Russell은 The Verge에 이번이 Luminar가 자율 주행 차 세계를 벗어난 분야에 처음으로 진출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Russell은 Airbus와의 연계가 "전체적인 교통 수단을 안전하고 자율적으로 만드는 것"이라는 그의 임무의 연장선으로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같은 맥락에서 매년 추락하는 비행기의 수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2020년 NBA 스타 코비 브라이언트를 죽인 헬리콥터 추락 사고가 점점 더 흔해지고 있습니다. 정부 및 업계 리더로 구성된 자원 봉사팀인 미국 헬리콥터 안전팀이 2019년 3월에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비행 시간 100,000 시간당 치명적인 헬리콥터 사고율이 2016년보다 2018년에 급증했습니다. 100,000시간당 사망자 수도 증가했습니다.

 

 

Russell is convinced that Luminar can help prevent some of those fatal crashes. “A double-digit percentage of helicopter crashes happen by just landing on things like wires that are totally avoidable,” he said. “If you can actually just have a 3D map and see what’s going on hidden underneath you would be an improvement. Even some of the best pilots have a hard time being able to see these kinds of things.”

 Russell은 Luminar가 이러한 치명적인 충돌 중 일부를 예방할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헬리콥터 충돌의 두 자릿수 비율은 완전히 피할 수 있는 와이어와 같은 것에 착륙하는 것으로 발생합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실제로 3D지도를 갖고 그 아래에 숨겨져있는 것을 볼 수 있다면 사고 확률은 대폭 감소할 것입니다. 최고의 조종사들조차도 이런 것들을 보는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Luminar was founded by a then 17-year-old Russell in 2012 and counts among its backers Peter Thiel and Volvo, which will begin using Luminar technology to power autonomous driving in its cars beginning in 2022. Luminar also supplies Audi and the Toyota Research Institute, and it has announced partnerships with Mobileye and Daimler’s trucking division.

In addition to making giant passenger planes, Airbus also has an interest in small, battery-powered air taxis that are commonly referred to as “urban air mobility.” These would essentially be small helicopters with electric powertrains that could be used for short-hop flights within cities, such as Manhattan to JFK airport.

The aerospace company has funded several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eVTOL) projects over the years, including Vahana and CityAirbus. The former was an egg-shaped single-pilot eVTOL demonstrator, while the latter can carry four passengers and has a range of 60 miles.

 Luminar는 2012년 당시 17세의 Russell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2022년부터 Luminar 기술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자율 주행의 핵심인 라이다를 제작하는 회사입니다. 스타트업 후원자는 Peter Thiel과 Volvo등이 있었습니다. Luminar는 또한 Audi와 Toyota Research Institute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Mobileye 및 Daimler의 트럭 운송 사업부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했었습니다.

 대형 여객기를 만드는 것 외에도 Airbus는 일반적으로 "도시 항공 모빌리티"라고 불리는 소형 배터리 구동 에어 택시에도 관심이 있습니다. 이들은 본질적으로 맨해튼에서 JFK 공항까지 도시 내에서 단거리 비행에 사용할 수 있는 전기 파워 트레인이 장착된 소형 헬리콥터입니다. 항공 우주 회사는 Vahana 및 CityAirbus를 포함하여 수년 동안 여러 가지 전기 수직 이착륙 (eVTOL)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했습니다. 전자는 달걀 모양의 단일 파일럿 eVTOL였고, 후자는 4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으며 주행 거리는 60마일입니다.

 

출처: www.theverge.com/2021/4/26/22399389/luminar-airbus-lidar-aviation-evtol-partnership

 

Luminar’s LIDAR will take flight in new partnership with Airbus

The goal is to ultimately develop fully autonomous aircraft.

www.theverge.com

 


 

<에어버스>

보잉등 미국 기업이 독주하던 민간 여객기 시장에 대항하기 위해 연합 형식으로 설립된 것이 시초이며, 1969년에 첫 기종인 A300의 개발을 시작해 1974년에 취역했다. 이후 2000년 유럽의 방위산업체들을 통합하여 EADS 그룹을 만들면서 그 자회사로서 기업 에어버스가 설립되었다.

 


하지만 모기업인 EADS가 방위사업 부문을 중심으로 경영난에 처하자 2014년 에어버스 그룹으로 재출범하여 방산과 헬리콥터 부문도 에어버스 브랜드(에어버스 디펜스 앤 스페이스, 에어버스 헬리콥터스)의 자회사가 된다. 2017년에는 다시 민항 자회사와 그룹 본사가 통합하여 Airbus SE로 재편되었으며, 계열사별로 따로 쓰던 로고도 위의 것으로 통합되었다. 국제 연합체로서 프랑스와 독일,[4] 스페인의 국공유 지주회사가 각각 11.1%, 11.1%, 4.2%를 보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73%의 주식은 유럽 증시(EURONEXT)에 상장되어 있다. 최근 보잉 737MAX 기체결함으로 보잉의 이미지가 순식간에 나락으로 떨어지고 몰락해 버리면서 2019년 보잉을 앞질러 세계 1위의 민항기 제조사로 군립하게 되었다.

 

보잉 - 나무위키

보잉 2707: 초음속기, 원형기가 만들어지기도 전에 계획이 취소됐다.보잉 307: 스트라토라이너(Stratoliner), B-17 폭격기를 기초로 개발.보잉 377: 스트라토크루저(Stratocruiser), C-97 수송기를 기초로 개발

namu.wiki

출처: 나무위키

 


 엄청난 호재입니다. 세계 1위 민항기 제조사와 파트너십입니다. 아마 저번주 금요일 폭등도 단순히 숏스퀴즈라기보다 이 뉴스를 먼저 들은 세력의 매집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이것으로 벨로다인과 비교는 영원히 안녕입니다. 기술격차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될 것 같습니다. 5월 31일 전에 30선 회복하고 락업물량 받아내면서 25선지켜내면 가장 좋은 시나리오가 될 것 같습니다.

차례차례 호재를 푸는 노련함을 보니 역시 주가 관리하는 기업 답습니다. 숨겨왔던 호재 또 있나요? ㅎㅎ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