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연작장해 원인 및 대책
1) 연작장해 피해 발생원인
○ 유기물 부족 할 경우 유용미생물의 수는 감소
○ 유기물 부족 할 경우 병원균(역병, 탄저병) 밀도 및 독소 물질 증가
< 연작지 곰팡이 밀도와 식물독소 함량 >
구 분 |
연작지 |
비연작지 |
식물독소생성 곰팡이 밀도(%) 식물독소(파라하이드록시안식향산,ppm) |
9.1 152 |
2.1 50 |
※ 식물독소(파라하이드록시안식향산) 피해 한계농도 : 137ppm
< 식물독소(안식향산)농도별 고추 생육 피해율 >
구 분 |
안식향산 농도 연작지(ppm) |
|||
100 |
200 |
300 |
400 |
|
줄 기(%) 뿌 리(%) |
2.0 9.3 |
55 56 |
99.2 89.3 |
100 100 |
※ 생육 피해율은 어린모의 고사 비율
2) 연작장해 양상
○ 청고병, 역병 등 토양성 병원균 밀도 증가로 인한 발생률 증가
○ 토양 산도, EC 등 불균형으로 인한 각종 생리장해 및 수확량 감소
3) 연작장해 대책
○ 가지, 토마토, 박과 채소를 제외한 타작물과 돌려짓기, 토양전염성 병원균의 번식을 억제시켜 토양 내 병원균의 수를 감소시킴
○ 병 전염원 및 식물 독소물질 제거 : 고추대, 뿌리, 잎, 비닐을 당년 가을에 제거(겨울철 남겨놓을 경우 병해충 월동처가 됨)
○ 깊이갈이 : 전작에서 청고병 또는 역병이 발생 한 경우 50cm 이상 깊이갈이 하거나 볏짚을 다량 투입하여 토양 완충력 확보
○ 균형시비 : 퇴비를 10a당 2,000kg이상 시용하여 지력을 증진하고 토양의 성질을 개량하여 건전생육을 도모
○ 토양검정 결과에 맞게 질소, 인산, 칼륨을 적량시비
○ 인산, 칼륨이 토양에 많이 남아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반드시 토양검정 후 시비
○ 연작 포장에는 부족 되기 쉬운 고토, 붕사 등을 시용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추교재(Text) 11. 탄저병 방제 (0) | 2020.11.18 |
---|---|
고추교재(Text) 10. 병해충 방제_역병 (0) | 2020.11.17 |
고추교재(Text) 8. 생리장해 원인 및 대책 (0) | 2020.11.17 |
고추교재(Text) 7. 정식 후 포장관리 (0) | 2020.11.17 |
고추교재(Text) 6. 포장관리 및 정식 (0) | 2020.1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