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11 쌍바닥 경고! 나스닥 광기 속, 10년물 금리 4.3%가 매수 신호? 기관의 숨은 전략과 파월의 한 수까지 불확실성 속의 시장 전망최근 주식 시장은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특히, 다음 주부터 시작되는 기업 실적 발표와 은행주의 동향은 시장의 방향성을 가늠할 중요한 지표로 작용할 전망이다. 4분기는 전통적으로 소비가 집중되는 시기이지만, 고가격으로 인한 1분기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빅7를 포함한 주요 미국 주식들의 하향 전망이 이어지면서, 시장은 쌍바닥을 찍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상황은 큰 데드캣(Dead Cat Bounce, 일시적인 반등 후 재하락)으로 보이며, 이를 뒷받침하는 몇 가지 요인들을 살펴보겠다.1. 기관과 부자들의 전략적 움직임기관 투자자와 부자들은 이번 시장 변동성 속에서 레버리지를 줄이고, 천천히 매도하는 전략을 취했을 가능성이 높.. 2025. 4. 12. 트럼프가 문명4를 했다면? 중상주의는 진짜 파멸의 지름길 중상주의(Mercantilism)는 문명 시리즈를 즐겨 본 플레이어라면 익숙한 용어일 것이다. 문명4에서는 중상주의를 경제 정책으로 선택하면 모든 도시에서 외국과의 무역로가 차단되는 대신, 각 도시에 무료 전문가 1명이 배정된다. 무역을 차단한 대가로 ‘전문가’라는 내부 인재를 활용하게 되어, 위대한 인물 출현 확률이 높아지고 도시의 생산성과 문화력이 오르게 된다. 게임에서는 나름의 트레이드오프 구조가 존재한다. 외부 수익은 포기하되, 내부 역량을 강화하여 국가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이와 같은 메커니즘은 문명 시리즈의 가장 매력적인 요소 중 하나다. 경제정책 하나가 문명 전체의 발전방향을 좌우하고, 선택의 무게가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처럼 깔끔하고 단순한 보상체.. 2025. 4. 11. 트럼프 정책의 본질: 달러 시스템의 위기와 미국의 전략적 전환 트럼프의 정책은 단순히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로 치부하기에는 너무나 복잡하고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다. 그의 보호무역주의, 관세 전쟁, 그리고 세계 경찰 역할의 축소는 표면적으로는 자국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달러 기축통화 시스템의 구조적 위기와 미국의 경제 생존 전략이 숨어 있다. 이 칼럼에서는 트럼프 정책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달러의 역사, 기축통화 시스템의 작동 원리, 그리고 현재의 위기를 차례로 살펴보겠다.1. 달러 기축통화 시스템의 탄생: 닉슨 쇼크와 석유 달러의 연동1971년 닉슨 쇼크는 현대 금융 시스템의 전환점이었다. 미국은 금본위제를 포기하고, 달러를 석유와 연동시키는 전략을 선택했다. 당시 미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비밀 협정을 맺어, .. 2025. 4. 8. 이전 1 2 3 4 ··· 27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