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고추교재(Text) 20. 고추 비가림하우스 재배 -완-

by 인생오십년 2020. 11. 24.

1. 비가림 재배란?

1) 비가림 시설로 직접적인 강우를 차단함 => 탄저병 예방

2) 작기를 앞당기고 늦게까지 수확하여 수확량 증대(노지 대비 약 2배 수확)

 

https://canarygreen.tistory.com/517 

 

2. 비가림하우스 재배

1) 재배적 특성

1월 상순에서 2월 하순에 파종하여 3월 하순부터 4월 중순까지 무가온 하우스에 정식하고, 별도의 가온 없이 11월 상순까지 수확하는 작형

비가림하우스 재배는 기온 및 지온이 노지보다 높아 초기 생육이 촉진되어 첫 수확시기가 앞당겨 지고, 생육 후기에도 첫서리의 피해를 막을 수 있어 마지막 수확시기도 노지 보다 늦게 되어 전체적으로 수확량을 높일 수 있음

2) 비가림하우스의 규격

가림하우스재배는 하절기 고온기에 작업하므로 되도록 높게 지어야함

측창 이외에 별도로 천창개폐를 하면 환기효율이 높아지고 고온장해 예방할 수 있음

존의 10~11m 파이프로 폭 7~7.6m, 높이 2.6m로 설치한 소규모하우스 보다 13m파이프를 사용하여 폭이 8.0~8.2m, 높이 2.8~3.0m로 설치하는 것이 유리

한냉사(방충망)는 최대한 미세한 것을 사용해 해충 침입 방지

내재해형 비닐하우스 설치는 지역별 설계기준에 적합한 시설을 설치

(기상재해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하고, 최근 온난화에 따른 대설 및 태풍, 이상기후 현상 피해 방지)

 

3. 비가림 재배 기술

1) 품종선택

절간이 짧아 시설 내부에서 오랜기간 생육 가능한 품종

생육후기 까지 초세가 강하여 후기 수량이 많이 나는 품종

역병, 바이러스, 석회결핍 등 주요병해 및 생리장해에 견디는 힘과 습해에 강하고, 매운맛이 적당하면서 고춧가루가 많이 나는 품종

2) 비가림재배와 관행재배 비교

구분 비가림 재배 노지재배(관행재배)
품종선택 절간이 짧은 품종, TSWV 내병성 품종 다수확, TSWV 내병성 품종
추비방법 관수시설 이용 비오기 전 토양 살포
작기 4월 중순 정식 ~ 11월 초까지 수확 5월 초 정식 ~ 10월까지 수확
탄저병 장마 전 1회 정도 예방 살포 작기 중 지속적 살균제 살포
고온피해 차광막을 통해 예방 가능 이상기후 대응 불가

3) 육묘 및 정식전 포장관리

파종기는 정식이 앞당겨지는 것만큼 일찍 파종하며, 정식기는 지역 및 비가림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단동 1중 비가림시설은 4월 초 부터 단동 2~3중 비가림시설(수막시설)3월 초 부터 정식

단동 1중 비가림시설의 경우 터널재배를 통해 정식기 앞당길 수 있음

이랑의 넓이는 1열 재배는 120~130, 2열 재배는 150~160로 하고, 포기사이는 40~45, 이랑의 높이는 20~30이상이 되도록 관리

(토질에 따라 이랑의 높이를 달리함. 물이 안 빠질수록 높여야 함)

투명비닐 멀칭은 흑색비닐보다 초기 지온을 다소 높여주지만, 흑색

비닐은 고온기 지온 상승을 방지하여 작물 생육에 유리

 

4) 토양관리 및 시비

관수시설의 경우 점적호스는 최소 양쪽으로 2줄을 깔아야 고추가 효율적으로 양분을 흡수함(점적호스 수분흡수 범위 15cm), 반면 분수호스는 수분흡수 범위가 넓지만 물량이 고르게 들어가지 않는 단점이 있음

고랑관수는 생육 초기에는 문제없으나 생육 중기부터 뿌리가 물에 10분 이상 잠기면 모세근이 고사하여 청고병이나 시들음병 등 토양성 병해에 취약해 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유기물을 충분히 사용하여 토양의 완충능력을 향상시키고 과습과 건조한 상태를 방지함으로 뿌리 활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함

기비중심에서 추비중심으로의 변화가 요구되며 특히 고추와 같은 과채류를 고온기에 정식하여 저온기에 수확을 하고자 하면 착과에 의한 초세 조절이 중요하므로 기비량을 노지재배 보다 줄이고 초세와 착과상태를 보아 계속적인 추비실시

10a당 성분함량으로 질소 19, 인산 11.2, 칼륨 14.9을 기준으로 하고, 퇴비는 10a2,000시용하여 지력이 감소되지 않도록 관리

 

비가림 재배 표준 시비량(/10a)

구 분
(kg)
총 량 밑거름 웃 거 름 비 고
(3요소 성분량)
1 2 3
퇴 비
요 소
용성인비
황산칼륨
고토석회
붕소
볏짚
2,000
41
46
25
200
2
2,000
2,000
22
46
15
200
2
2,000
 
6
 
3
 
 
 
 
7
 
3
 
 
 
 
6
 
4
 
 
 
질소 : 19.0
인산 : 11.2
칼륨 : 14.9
거름주는 시 기 - 정식
2~3주전
정식후
20일경
1차후
25~30일경
2차후
30일경
 
 

 

복합비료 사용 시 표준 시비량(/10a)

구 분
(kg)
총 량 밑거름 웃 거 름 비 고
(3요소 성분량)
1 2 3
퇴 비
복합비료
고토석회
붕소
볏짚
2,000
60
200
2
2,000
2,000
40
200
2
2,000
 
7
 
 
 
 
6
 
 
 
 
7
 
 
 
질소 : 19.0
인산 : 11.2
칼륨 : 14.9
거름주는 시 기 - 정식
2~3주전
정식후
20일경
1차후
25~30일경
2차후
30일경
복합비료
21-17-17

고토석회 미시용 시 1차 웃거름 줄 때 칼슘결핍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질산칼슘, 인산칼슘 등 칼슘 비료를 추가적으로 넣어주는 것이 좋음

볏짚은 1톤 넣고 경운 후에 추가적으로 1톤 넣고 경운하는 방식으로 나누어서 넣음(한번에 2톤 넣고 경운하기 어려움)

저온기 재배에 따른 지온의 하락으로 뿌리 활력이 저하되어 인산, 칼륨, 칼슘 등의 영양분 흡수가 장해를 받으므로 엽면시비를 보조적 시비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음

관비기 이용 시 EC 농도는 평소 1~1.2, 개화기 때 1.2~1.5로 높여 관리 (중탄산이 높은 경우 갈슘결핍, 철결핍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니 양액비료 이용 시 원수 수질검사 필수)

 

5) 정식

아주 심기 시기는 중산지의 경우 4월 상순경으로 무가온으로 동해 피해를 받지 않은 시기가 적당

심는 시기에는 온도가 낮으므로 맑은 날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 사이에 심는 것이 유리

지나치게 밀식을 하면 병해충 방제나 수확 등의 작업에 불편

밀식 할 경우 총 수량은 많이 나오나, 상품과 비율이 적어 자체 가공생산 하지 않으면 농가 소득에 악영향

 

<비가림 관비 재배 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과 수량>

구 분 주간거리
()
초 장
()
생체중
(g/)
수확과수
(/)
수 량
(kg/10a)
수량
지수
비가림 18 91.7 246.3 37.8 342.8 153
24 90.3 282.4 50.2 334.3 149
30 89.5 254.7 55.4 293.7 131
36 89.8 323.9 62.3 275.2 123
평 균 90.5 301.4 51.4 316.2 -
출처: 농촌진흥청 작목기술재배 고추 비가림재배

 

6) 온도관리

비가림하우스의 온도는 낮에는 30이상이 되지 않게, 밤에는 18~20, 지온은 20를 목표로 관리

온도 관리는 측면과 측고 또는 중앙고의 개폐, 송풍기를 이용한 강제환기, 차광 또는 미스트 장치를 이용한 온도 조절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

송풍기를 이용한 강제 환기법은 하우스 내의 온도 분포를 잘 조절할 수 있는 이점 외에 하우스 내에 미풍(20~40/)이 흐르기 때문에 잎의 증산 및 동화작용이 활발하게 되고 꽃가루의 수분 등에 효과적임

 

7) 측지 제거

측지를 제거하면 초세가 다소 약해지면서 착과가 잘 되고, 비대 착색이 빨라 초기수량이 많아짐 (무제거 재배 고추보다 측지 제거한 고추 수량 7% 향상)

동시에 절간이 길어지고, 초형이 웃자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또한 통풍이 잘되어 병충해 발생이 적고 약제방제에도 용이

 

8) 비가림재배시 유인방법

<유인방법별 생육비교>

구 분 외줄 유인 Y자 유인 네트유인
초 장 176 140 163
주당수확과수(/) 103.1 90.4 79.1
수 량(kg/) 11.3 9.9 17.9

유인 방법별 시험결과 초장은 Y자유인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주당 수확 과수는 외줄유인이 가장 많게 나타났음

평당 수량을 비교한 결과 외줄유인 보다 네트유인이 가장 많게 나타남

또한 네트유인 시 병해충 방제 및 관리 노력이 절감됨

시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수량 면에서 고추의 비가림하우스 재배 시 유인방법으로는 네트유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

 

9) 거름주기

기비로 화학비료를 과다하게 시비하지 말고, 추비 위주로 다비 재배

화학비료를 과다하게 기비로 사용하면 초세가 너무 강해져 주간이 높아지고 절간이 길어지며, 하단착과 불량 및 과번무의 원인

플러그묘를 구입하여 재배할 때는 기비 중 질소질 비료량을 30%정도 줄여 초세가 강해지지 않도록 하여야 착과가 촉진

관비시비는 2주에 1회 간격으로 하면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고 노동력 절감에 효과적 (토질 및 작황에 따라 간격 조절)

 

관비처리별 고추의 초기 생육 및 수량

고추비가림 관비재배 시 기준시비량 N-P-K=19.0-11.2-15.0kg/10a

정식 2주전에 인산을 전량 밑거름, 질소와 가리는 검정시비량의 100%의 양을 요소와 황산칼리로 환산

8회로 나누어 정식 10일후부터 15일 간격으로 관비 처리

고추수량은 2,635.3kg/10a으로 관행처리 2,217.8kg/10a 대비 19% 증수

처 리 수량(kg/10a) 지 수
관 행
관비 40%
관비 70%
관비 100%
관비 130%
2,218
951
1,918
2,635
2,526
100
43
86
119
114
출처: 충북농업기술원수박연구소 김상희 기능성 고추 비가림 관비재배 효과 구명

10) 투광 상태를 양호하게

중기 이후에 적엽 또는 가지치기로 투광상태를 양호하게 하면 중기 이후 단엽은 통풍 및 투광불량의 원인이 되고, 영양분만 소모하므로 초세를 보아가면서 방아다리 아래의 하단엽을 제거

초세와 착과성 상태에 따라 하단 및 중단의 가지 일부도 제거

온도는 환기창을 이용하여 적정하게 유지

한여름에 지나치게 고온이 될 경우 하우스를 30~50%정도 차광망으로 차광해 주면 온도상승을 방지를 통해 고온기 착과불량 예방

7월 장마 이후 외부 광량이 15Lux가 넘어가므로 차광막 50%를 설치하여도 내부 광량은 이미 고추 광포화점을 넘은 상태가 됨

 

11) 수분관리

시설 내 관수는 관수시기와 관수량의 조절이 중요

하루 중 10~12시 사이에 관수를 하며 관수로 사용될 물은 하루전날 받아 놓아 수온을 14~18정도 되도록 한 다음 관수

장마 이후 갑자기 고온기가 되면서 뿌리가 장해를 입어 청고병, 시들음병 등이 오는 경우가 있는데, 뿌리 온도는 낮춰주는 것이 중요 (피복제거 및 관수에 의한 증발열 이용 등)

생육 중기 이후 고랑관수 시 잔뿌리가 물에 잠겨 고사할 수 있으며, 그로인한 청고병, 시들음병에 걸리기 쉬운 상태가 됨

 

12) 환기관리

환기를 하는 목적은 고온을 억제하고 습도를 조절하며, 탄산가스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는데 있음

환기방법에는 환풍기를 이용한 강제 환풍과 측창이나 천창을 이용해 자연적인 대류현상(바람)으로 환기시키는 방법 등이 있음

측창에 방충망을 설치하면 응애, 진딧물 및 담배나방, 파밤나방 피해를 경감(메쉬 소재 등 미세방충망 설치)

 

 

4. 비가림 재배 시 주요 문제점

1) 칼슘결핍

관행재배는 생육초기 웃자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과도하게 수분을 억제하다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을 관수해서 관리함

위와 같은 방식의 수분관리는 고추의 잔뿌리를 고사시켜 청고병, 역병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칼슘결핍을 초래하기 쉬움

시설재배 연작 시(타작물 재배 포함) 비분이 축적되어 토양이 염류집적 상태가 되고, 칼슘의 흡수를 방해함. (담수, 제염작물 재배 필요)

 

시설재배 시 반드시 정식 전 토양검정을 받도록 하고 고토석회를 시용하여 적정 토양 산도를 만들어야 함 (근본적인 해결방법)

2) 칼슘결핍 시 추비

500g 액비로 구매하는 것 보다 수용성 양액재배 전용 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고 효과적임(500L 1kg 시용)

인산칼슘- 인산과 결합된 형태의 칼슘제제, 웃자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과용 시 작물 생육을 억제해 수량감소로 이어질 수 있음. 또한 계분을 기비로 넣은 경우 사용 지양(계분 인산 비율이 높아 인산과다 상태가 될 수 있음)

질산칼슘- 질소와 결합된 형태, 생육증진 효과와 칼슘결핍을 예방할 수 있음, 질산칼슘의 경우 질소가 포함된 다른 비료와 혼용해서 추비 할 시 칼슘 흡수율이 낮아질 수 있으니 단독으로 시비할 것

초산칼슘- 초산(아세트산)과 결합된 형태로, 질산칼슘의 경우 질소 성분을 먼저 흡수하는 경향이 있어 칼슘 그 자체에 대한 흡수율은 초산칼슘이 조금 더 효과적임

재배 중 칼슘결핍 발생 시 칼슘이 함유된 비료를 물에 녹여 엽면시비하거나 관주로 주변 어느 정도 해결 가능하지만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아님

 

3) 총채벌레

노지재배보다 총채벌레가 더 일찍 발생하며, 더 빠르게 번식하는 경향

정식 전 - 살충제 입제(계통: 1, 4)와 총채싹 입제를 섞어 경운

정식 후 - 총채벌레 피해가 없더라도 예방 차원에서 살충제 살포

같은 계통 약은 3번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2번까지 사용가능)

총채벌레 발생 시 총채벌레 유인제를 살충제에 섞어 사용

스프레이(미세입자 살포장식)방식으로 방제가 안 될 경우, 연무기 방식을 통해 방제(농도가 높을 경우 약해 입으니 주의)

계통구분

방제순서
성 분 합제 성분 제품명 작용기작
3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총채탄 제충국 성분
신경 흥분유발
4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슐탄
대포
모스피란
신엑스
아타라
칼립소
신경전달물질 교란
5 격파
당찬
금관총
3 만장일치
22 맹타
5 스피노신계   델리게이트
엑설트
신경교란
4 눈부신
6 아버멕틴계   맥스팜
아이칸
신무기
동작그만
신경근육연접 마비 유발
4c 슈퍼펀치
28 볼리암-타고
23 엔비도스피드
13 피롤계   섹큐어
렘페이지
세포 내 미트콘드리아 내막 에너지 생성 저해
4a 스트라이크
섬광
16 티아다아진계 4a 검객 키틴합성 저해
5 마에스트로
28 디아마이드계 4a 미네토듀오
볼리암후레쉬
신나고
근육 수축을 통한 살충
미분류 플록시데타마이드 - 다트롤
캡틴
미분류

 

참고자료 희석배수 조견표 (ml=g=cc)

 

  50 100 200 300 500 1000 1500 2000
1L 20ml 10ml 5ml 3.3ml 2ml 1ml 0.6ml 0.5ml
5L 100ml 50ml 25ml 16.5ml 10ml 5ml 3.3ml 2.5ml
10L 200ml 100ml 50ml 33.3ml 20ml 10ml 6.7ml 5ml
20L 400ml 200ml 100ml 66.6ml 40ml 20ml 13.3ml 10ml
50L 1L 500ml 250ml 167ml 100ml 50ml 33.3ml 25ml
100L 2L 1L 500ml 333ml 200ml 100ml 66.5ml 50ml
150L 3L 1.5L 750ml 500ml 300ml 150ml 100ml 75ml
200L 4L 2L 1L 666ml 400ml 200ml 133ml 100ml
250L 5L 2.5L 1.25L 832ml 500ml 250ml 166ml 125ml
300L 6L 3L 1.5L 1L 600ml 300ml 200ml 150ml
350L 7L 3.5L 1.75L 1.16L 700ml 350ml 233ml 175ml
400L 8L 4L 2L 1.33L 800ml 400ml 266ml 200ml
500L 10L 5L 2.5L 1.66L 1L 500ml 333ml 250ml
600L 12L 6L 3L 2L 1.2L 600ml 399ml 300ml
1000L 20L 10L 5L 3.33L 2L 1L 665ml 500ml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가 높다는 의미  (0) 2020.11.26
홍산 마늘  (0) 2020.11.25
고추교재(Text) 19. 고추 수확 및 건조  (0) 2020.11.24
식물보호기사 2차 실기준비 - 해충 3  (0) 2020.11.23
고추교재(Text) 17. 나방류 방제  (0) 2020.11.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