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차트 분석
전쟁으로 인해 차트분석이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전쟁부터 잘 예상했어야 했는데, 완전히 빗나갔으니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기계적으로 분석하자면, 11.5까지 떨어질 가능성이 있고, 볼리저밴드 하단 범위인 12~14에서 횡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거래량이 실리지 않아 그 이상의 하락은 가능성이 낮습니다.
게다가 루미나 생산시설이 우크라이나나 러시아에 있는 것도 아니라서, 자산 현금화에 따른 일시적 폭락이지, 개별 악재가 아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사태만 진정된다면 곧 회복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2. 공매도 확인
현금 또는 안전자산인 금만 선호하는 전쟁 특유의 상태가 되면서 심지어 공매도 물량도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뿐만아니라 국내 주식도 마찬가지로 보통 매도 할 때 공매도까지 하는데, 마냥 매도만 하고 있습니다.
3. 우크라이나 사태
저번 글에서 제가 예상했던 것과 달리 푸틴은 전면 공격을 실시했습니다. "돈바스 지역 평화유지" 명목으로 우크라이나 전체 공격이라니, 독재자의 생각은 예상할 수 없습니다.
아마 이번 사태는 조지아 사태와 비슷하게 돌아갈 것 같습니다. 저는 크림사태와 비슷하게 돌아갈 것이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더 미국은 안 움직이고, 생각보다 더 러시아는 과감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 조지아 사태처럼 미국의 직접적인 개입 선언을 하지 않는 이상 끝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오일 가격도 조만간 100달러를 넘어갈 예정입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224114051009?input=1195m
군 시설 정밀타격부터 시작해, 전투에서 유리한 입장입니다만, 시설파괴만으로 점령 혹은 무장해제가 되지 않습니다. 아마 미군이 이라크 침공할 때와 같은 양상을 보일텐데, 그 당시 이라크는 모래폭풍으로 인한 작전 수행이 지체되었다는 점과, 현재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 수적 차이가 압도적이지 않다는 점(우크라이나36만vs러시아 집결병력20만)을 미루어봐 1~2주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나무위키에서는 24만, 기사에서는 36만으로 나옴) 물론 러시아가 추가적인 배치를 한다면 또 다른 이야기가 됩니다만...... (미군 이라크 침공 할 때 바그다드 점령까지 2주 걸림)
조지아 사태처럼 순식간에 사태가 정리되지 않을 것은 명확해 보입니다. 크림 반도 사태 때 세계 경제제제로 러시아 경제가 타격 입기 시작한 시점은 진입 후 28일 후 였습니다. 3월 중순은 되어야 경제 제제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 그 전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는 정리하려고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국 미국이 개입하지 않으면 사태는 장기화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바이든 입장에서는 개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국익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나라입니다. 러시아가 키예프 점령하기 전까지 바이든은 움직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국 이 전쟁이 끝나는 시점은 러시아가 언제 키예프를 점령하냐에 달린 것 같습니다.
제 지극히 주관적이고 잘 맞지 않는 예상으로는 빠르면 1주, 늦으면 2주 안에 점령될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러시아는 점령을 위해서라면 추가적인 병력 배치가 필요합니다.
'Luminar Technolog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미나]20220308_차트분석 및 공매도 확인 (0) | 2022.03.08 |
---|---|
[루미나]20220302_차트 분석 및 공매도 확인, 2021년 실적 발표, 대량생산 (0) | 2022.03.02 |
[루미나] 20220218_ 차트분석 및 공매도 확인, 전쟁가능성 (0) | 2022.02.19 |
[루미나] 20220208_차트분석 및 공매도 확인, AEB systems(보행자보호 시스템) 낮에만 작동한다! (0) | 2022.02.08 |
[루미나] 20220204_러셀 루미나 주식 매수 (0) | 2022.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