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관심 종목

쇼타임! 초전도체 시즌2 시작! - 중국에서 초전도체 물질 복사 성공!

by 인생오십년 2024. 1. 7.

신호는 실제로 비교적 나쁘며, 한국 연구팀의 것보다 크기가 한 단계 작으며 초전도 체적 비율은 약 0.005입니다. 샘플 크기가 원래 작았고 일부는 EPR(양자얽힘 관련 실험)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데이터 포인트를 기반으로 자동 생성된 그래프에 부드러운 선을 추가하여 결과를 더 명확하게 표시했습니다.

물론 부드러운 선을 추가하지 않아도 상관 없습니다. 핵심 데이터는 다이아몬드 차트로 한눈에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측정 오류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500e 아래의 측정 지점을 특별히 암호화했습니다. 영 필드 근처의 날카로운 전면은 매우 중요하며 서로 다른 온도에서 일관된 결과가 측정되었으며 실험 오류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이 다이아몬드 곡선은 지금까지 알려진 첫 번째 것이며 한국 연구자 중 아무도 본 적이 없는 것입니다. 많은 노이즈 포인트가 있지만 가장 가치 있는 것은 신뢰성입니다. 

다행히 마이즈너 효과를 기대할 만한 것들이 있습니다.  특히 예측된 글라스 상태( glassy state )가 더욱 확인되었습니다.

당시 시험 계획을 설계할 때, 특별히 설계된 링크는 제로 필드 냉각 과정에서 서로 다른 온도에서 MH 루프를 스캔하는 것이었습니다.

만약 글라스 상태라면, 샘플은 후속 가열 중에도 반응해야 합니다. 실제로 스윕 라인의 마지막 온도 지점은 100K였습니다.

이렇게 했더니 온도가 올라가 ZFC를 측정할 때 100K 지점이 매우 뚜렷하게 올라가면서 샘플이 냉각 프로세스 중에 작업을 기억했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놀라운 글라스 상태 기억 효과는 많은 현상을 설명하는 데 충분합니다. 예를 들어, 왜 우리의 다이아몬드 곡선이 비대칭인가요? 왜 MT를 측정할 때 25Oe가 음수이지만 선을 다시 스윕할 때 양수인가요? (초기 측정시에는 음수였음) 자성장이 샘플에서 강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소용돌이를 통과하면 열 변동으로 인해 빠르게 이완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이러한 이상한 현상이 발생합니다.
(제가 이해를 못해서 일단 회색처리했습니다.)

 

 

중국 연구팀이 상온상압 초전도체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상온상압 초전도체는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기술을 혁신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요, 이는 트랜지스터와 비슷하거나 아마도 그 이상의 발명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지난 8월에는 LK99라는 초전도체에 관한 뉴스가 나왔었습니다. 그러나 다른 실험실에서는 그 중요한 측정값들을 다시 만들지 못했지요. 결국 LK-99은 낮은 강도의 자기장에서는 더디게 반응하고 높은 자기장에서는 강자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명되기도 했습니다.

이번 논문은 이전 LK99 작업과 어떻게 다른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것이 같은 물질일까요?  

이 논문에는 유황이라는 화학 물질이 약간 다르게 포함되어 있는데, 이전에는 LK99에 이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LK99를 만들 때 사용된 초기 성분에는 이미 유황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원래 LK99 샘플에 유황이 오염되어 있을 수 있었어요. 하지만 원래 연구자들이 그것이 없다고 생각했다면, 높은 순도의 복제품은 잘못된 물질을 만들어냈을 거예요.

다시 말해, 현재의 물질이 유황을 포함하고 있다고 해도, 이것이 원래 LK99 저자들이 보고한 것과 같은 결정 구조에서 나온 효과라는 것을 배제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lead apatite crystal'이라는 일반적인 이름으로 불리며 작은 돌처럼 떠다닐 것입니다.

현재 논문과 원래 LK99 및 다른 시도된 복제물에 대해 항상 어려웠던 것은 결정의 구리 원자가 '적절한 위치'에 도달하기가 자연스럽게 어려웠기 때문에 항상 낮은 순도의 물질이 생산되었고 '적절한 것'의 작은 조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떤 구성이 올바른지 또는 어떻게 작동하는지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초저 온도 이상에서 초전도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속성을 가진 결정 구조가 올바르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연구가 이미 진행되었습니다.

연구자들은 초전도를 어떻게 측정했을까요?

초전도체의 정의적인 특성 중 하나는 외부 자기장을 완벽하게 추방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이것을 '마이스너 효과'라고 합니다. 자기장이 너무 강하면 물질은 초전도 상태에서 벗어나 일반 전도 상태로 돌아갈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크리티컬 필드라고 부르는 위치입니다.

크리티컬 필드가 높은 초전도체를 개발하는 것은 현재 핵융합의 대부분의 접근 방식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 과학의 획기적인 발전이었기 때문에 큰 일입니다. 그러나 이 샘플의 크리티컬 필드는 상당히 작습니다. 지구의 자기장의 60배 정도이거나 MRI의 0.2% 정도입니다.

그렇다면 연구자들은 어떻게 초전도성을 측정했을까요?

초전도체의 정의적인 특성 중 하나는 외부 자기장을 완벽하게 추방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이것을 '마이스너 효과'라고 합니다. 만약 자기장이 너무 강하면 물질은 초전도 상태에서 벗어나 일반 전도 상태로 돌아갈 것입니다. 이것을 바로 크리티컬 필드라고 부릅니다.

크리티컬 필드를 높인 초전도체를 개발하는 것은 현재 핵융합의 대부분의 접근 방식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 과학의 획기적인 발전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샘플의 크리티컬 필드는 상당히 작습니다. 지구의 자기장의 60배 정도이거나 MR의 0.2% 정도입니다.

 

 

다른 나라였다면 "역시 내 믿음이 틀리지 않았어!"라고 환호했을텐데, 중국이라 의심부터 갑니다. 논문을 살펴봐도 이해가지 않는 부분이 많아서 공부 좀 해봐야겠습니다. 다른 투자자분들은 벌써 다 이해하셨는지 일단 상한가 보내셨네요. 

 

Possible Meissner effect near room temperature.pdf
0.19MB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