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투자상품으로 본 아파트

by 인생오십년 2024. 11. 19.

아파트는 단순히 거주 공간이 아니라 최고의 투자 자산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대한민국의 부동산 시장에서 아파트는 '자본 증식의 핵심 도구'로 기능하며, 다른 자산들과 차별화된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레버리지 활용, 정책적 보호, 안정적인 수익성, 그리고 물가 상승과 금리 변동에 따른 상승 가능성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본 칼럼에서는 이러한 투자 관점에서 아파트를 조명하고, 그 의미를 심도 있게 분석해보겠습니다.


1. 아파트는 레버리지 상품이다

아파트 투자는 **레버리지(Leverage)**를 활용한 대표적인 투자 방식으로 꼽힙니다. 예를 들어, 정책 대출을 통해 70%의 자금을 빌려 아파트를 구매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때, 투자자는 자신의 자본금 30%만 투입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자산 가치 100%를 소유하게 됩니다.

  • 레버리지 효과 계산
    1. 기본 가정
      • 아파트 가격: 6억 원
      • 대출 비율: 70% (4.2억 원)
      • 자기자본: 30% (1.8억 원)
    2. 가격 상승 시 결과
      • 아파트 가격이 10% 상승하여 6.6억 원이 된다고 가정.
      • 투자자는 아파트 매각 시 0.6억 원의 가격 상승분을 확보.
    3. 수익률 계산
      • 투자자는 자기자본 1.8억 원으로 0.6억 원의 이익을 얻었으므로,
        수익률 = (0.6억 원 ÷ 1.8억 원) × 100 = 약 33.3%
  • 하방 리스크 방어
    더 놀라운 점은 하방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라는 것입니다. 정부의 대출 규제, 정책적 보호, 공급 부족 등으로 인해 아파트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는 사례는 드뭅니다.
    따라서, 투자자가 경험할 수 있는 리스크는 비교적 적으면서도, 레버리지를 통한 수익은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2. 아파트는 ‘배당주’와 같다: 주거권이라는 배당

주식 시장에서 배당주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하는 매력적인 자산으로 평가받습니다. 아파트 역시 유사하게 '월세 수익'이라는 형태로 배당 개념을 제공합니다.

  • 주거권 = 월 배당
    예를 들어, 6억 원짜리 아파트를 소유하고 본인이 거주한다고 가정하면, 이는 매월 110~120만 원의 월세를 받는 것과 동일한 경제적 효과를 냅니다.
    임대 투자자라면 월세를 직접 받을 수 있고, 거주자라면 주거 비용 절감이라는 형태로 배당을 받는 셈입니다.
  • 배당 수익률로 본 아파트
    6억 원짜리 아파트에서 월세 수익 120만 원을 받는다면, 연간 수익률은 약 2.4%입니다. 이는 전세자금 대출 금리 수준과 비슷하거나, 일부 경우 이를 상회합니다.
    또한, 주식 배당과 달리 안정적이고 꾸준한 수익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더 안전한 투자 자산으로 평가받습니다.

3. 물가와 금리에 연동되는 자산

아파트는 물가 상승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자산입니다. 이는 다른 금융 자산들과 비교했을 때 큰 장점으로 작용합니다.

  • 물가 상승의 영향
    신축 아파트 공급 가격은 건축비 상승, 토지 비용 증가 등의 이유로 지속적으로 상승합니다. 이는 자연스럽게 기존 아파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특히, 물가가 상승할수록 부동산 자산의 가치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부동산이 인플레이션 헤지(hedge) 수단으로 기능하는 중요한 이유입니다.
  • 금리 하락과 가격 상승의 관계
    금리가 하락하면 대출 이자가 줄어들어 주택 구매 수요가 늘어납니다. 이로 인해 아파트 가격은 금리 하락에 민감하게 상승합니다.
    반대로, 금리가 상승하더라도 아파트는 월세라는 현금 흐름을 통해 일정 부분 방어가 가능합니다.

추가 자료: https://canarygreen.tistory.com/353

 

한국 부동산과 주식시장 상관관계

출처: https://scienceon.kisti.re.kr/ 지식인프라서비스 홈 scienceon.kisti.re.kr 서울지역 아파트가격은 1987년 1월을 기준으로 1991년 4월까지 224% 상승한 이후 조정과정을 거치며 1998년 11월 164%까지 하락하였

canarygreen.tistory.com

 


4. 아파트 시장의 하방 방어 요인

아파트 시장이 하방 리스크를 방어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책적 보호
    정부는 부동산 시장의 급격한 침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조치를 취해왔습니다. 이는 주택 구매자들에게 일종의 안전망 역할을 제공합니다.
  • 공급 부족
    특히 대도시 지역의 경우, 주택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아파트 가격 하락 가능성을 제한하는 주요 요인입니다.
  • 심리적 안전 자산
    아파트는 한국 사회에서 단순한 투자 상품을 넘어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자산으로 여겨집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자산을 쉽게 매도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5. 결론: 아파트는 현대의 이상적인 투자 자산

아파트는 단순한 거주 공간을 넘어,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갖춘 현대적인 투자 자산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레버리지를 활용한 높은 수익률, 안정적인 주거권이라는 배당, 물가 및 금리 연동으로 인한 지속적인 상승 가능성은 아파트 투자의 매력을 극대화합니다.

물론, 정책 변화나 금리 인상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시장이 일시적으로 조정될 수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아파트는 여전히 '위험 대비 높은 보상'을 제공하는 투자 자산으로 평가됩니다.
앞으로도 부동산 시장의 장기적인 흐름을 예측하며 투자 전략을 설계한다면, 아파트는 안정적인 자산 증식의 도구로 기능할 것입니다.

주택보유자라면 민주당을 찍어야 합니다. 저는 마음으로만 보수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