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ssell, identifiable by his thick, light ginger hair, talks quickly and confidently but in a way that's more knowledgeable than cocky. It's easy to tell he's housing a lot of info in his brain.
He wasn't born into a tech-savvy household — his father worked in commercial real estate, and his mother dabbled in modeling and public speaking — but one could say Luminar was in Russell's blood.
Russell after receiving the Thiel Fellowship. The Thiel Foundation His paternal great-grandfather, S.I. Russell, invented the modern-day electric blanket, and his maternal grandfather, Rudy Cleye, built a raceway.
러셀의 진저색 머리카락과 빠르고 자신감있는 말투에서 건방짐보다 풍부한 지식이 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는 기술을 연구하는 가정에서 태어나지 않았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상업용 부동산 업자였고, 어머니는 모델링과 대중연설 관련 업무를 했습니다. 그러나 루미나는 러셀가의 혈통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증조부인 S.I. Russell은 전기담요를 만들었고, 외가쪽인 Rudy Cleye는 경주로를 건설했습니다.
Russell stacked up his inventor's résumé early on. He memorized the periodic table of elements at 2, worked as a software consultant by 10, and filed his first patent at 13, which was for a water-recycling system.
As a teenager, Russell mostly lived out of the makeshift electronics and optics lab he set up in his parents' garage in Newport Beach in Southern California, he said. Surrounded by his self-built supercomputer, he studied hardware systems and later optics and photonics.
러셀은 일찍부터 발명가 이력을 쌓았습니다. 그는 2살에(??) 원소 주기율표를 암기하고 10살에 소프트웨어 컨설턴트로 일했으며, 13살에 첫 번째 특허인 물 재활용 시스템을 등록했습니다.
10대 때 러셀은 주로 남부 캘리포니아의 뉴포트 비치에 있는 부모님 차고에 설치 한 임시 전자 및 광학 연구소에서 살았습니다. 자체 제작한 슈퍼컴퓨터에 둘러싸여, 그는 하드웨어 시스템과 광학 및 포토닉스를 공부했습니다.
When his parents wouldn't let him get a cellphone, Russell built his own using a Nintendo DS, he told The Orange County Register. He also built a holographic keyboard system, a cancerous-mole laser detector, and developed long-distance wireless power-transmission systems.
"The kid's mind is so broad that he literally always had 50 ideas going at one time," Tony Jordan, his physics teacher at St. Margaret's Episcopal School in San Juan Capistrano, told Bloomberg in 2017.
그의 부모님이 휴대전화를 쓰지 못하게 했을 때 그는 닌텐도 DS를 개조해 휴대전화를 만들었다고 오렌지 카운티 레지스터에서 말했습니다. 또한 홀로그램 키보드 시스템, 악성종양 레이저 탐지기, 장거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San Juan Capistrano에 있는 성 마가릿 스쿨의 물리 교사인 토니 조단은 2017년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아이의 마음이 너무 넓어서 말 그대로 한 번에 50개의 아이디어를 진행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미드 퀸즈 갬빗의 주인공마냥 말 그대로 50개의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 한 것 같습니다.)
The impulse to learn has carried over to his adult life: Russell said he skimmed through 1,000 articles or papers a day. "I've always had a lot of curiosity, wanting to understand the ways of how things work, asking way too many questions, just being an information sponge," Russell said. "I had that bug to always want to build and create early on."
배우려는 충동은 그가 성인이 되도 이어졌습니다. 러셀은 하루에 1,000개의 기사나 논문을 훑어보았습니다. 러셀은 "나는 항상 호기심이 많았고, 작동 방식을 이해하고 싶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He said his parents would joke: "You just go do your black magic in the lab; we'll slip food under the door."
Rather than "doing the day-to-day stuff" of high school, Russell said he spent more time in his garage lab and working as an independent researcher at the Beckman Laser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그의 부모는 "너는 실험실에서 흑마법이나 하렴, 우리는 문 아래로 음식이나 넣어줄게" 라며 농담을 했다고 합니다. 러셀은 고등학교에서 "일상적인 일을 하는 것"보다 차고 실험실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냈고 캘리포니아 대학의 Beckman Laser Institute에서 독립적인 연구원으로 일했다고 합니다.
After high school, he went off to study physics at Stanford but dropped out six months later to continue his work on Luminar after receiving the prestigious Thiel Fellowship, the startup accelerator created by the Silicon Valley entrepreneur and venture capitalist Peter Thiel that pays students $100,000 to drop out of school and build a startup for two years.
고등학교 졸업 후 그는 스탠포드에서 물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떠났지만, 실리콘 밸리의 기업가이자 자본가인 피터틸의 틸 펠로우십(학생들에게 100,000을 투자하는 듯)을 받고 계속하기 위해 중퇴해서 2년동안 스타트업을 준비합니다.
Russell said he always knew academia wasn't for him.
He said too many technologies get developed without an application or end up stuck in the lab. He'd followed what the autonomous-vehicle industry was doing with lidar sensors and was determined to find a way to make an affordable version that could be universal.
"It's very hard to have an appreciable impact on the world with just an idea if you can't build an economic engine behind it to actually have it have real world application," he said.
러셀이 말하길 항상 학교가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는 너무 많은 기술이 애플리케이션 없이 개발되거나 결국 실험실에 갇히게 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자율주행 차 산업이 라이다 센서로 귀결된다는 점을 지지했고,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라이다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경제 엔진을 구축할 수 없다면, 아이디어만으로 세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어렵습니다."
-3부에서 계속-
'Luminar Technolog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미나] 20210121차트 및 공매도 분석 (0) | 2021.01.21 |
---|---|
[루미나] Businessinsider - 일론 머스크가 멸망할 기술이라 말했던 라이다로 일어선 청년 "오스틴 러셀" 3부 (0) | 2021.01.21 |
[루미나] Businessinsider - 일론 머스크가 멸망할 기술이라 말했던 라이다로 일어선 청년 "오스틴 러셀" 1부 (0) | 2021.01.19 |
[루미나] 5년 뒤 목표주가 1,000달러에 대한 분석 (수정) (3) | 2021.01.14 |
[루미나] 벨로다인, 바이두 주가 비교 및 니오 루미나 탑재(?) (0) | 2021.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