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사업개요 |
□ 사 업 명: 청년농 2040 창업·투자 심층컨설팅 지원사업
□ 사업내용: 청년농의 대규모 농업투자에 앞서 기술·경영분야의 심층컨설팅과
투자 전, 후 사후관리(정기멘토링, 방문자문)를 통해 청년농의 농업투자 실패
예방 및 적정투자 유도
□ 사업기간: 2022년 5월 ~ 2023년 5월(예정)
□ 운영계획
5~7월 | ⇒ | 8~10월 | ⇒ | 12~'23년 2월 | ⇒ | '23년 3월~5월 |
경영체 모집 및 협약 체결 |
심층컨설팅 수행 | 투자 전 정기멘토링 | 투자 후 사후관리 |
* 사업수행 일정은 운영 상황 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
□ 유관기관: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 | 모집개요 |
□ 지원대상
- 심층컨설팅(사후관리 제외) 완료 후 1년 이내('23년 10월 이내) 농업투자금 1억원 이상을 계획 중인 자*
* 사업신청일 기준 만 19세 이상 49세 이하 농업경영체
- 개별 및 법인경영체 중 아래 세부 지원자격을 모두 충족하는 농업경영체
- 그 외 구체적인 우대사항 및 선정 제외대상자 기준은 첨부 참고
구분 | 지원자격 | |
공통 | - (연령) 사업 신청일 기준 만 19세 이상 ~ 49세 이하 - (투자계획) 심층컨설팅(사후관리 제외) 완료 후 1년 이내 농업 투자금 1억원 이상을 계획 중인 자 농업경영체 등록*(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4조) * 단, 청창농 영농정착 지원사업 선정대상자(독립경영 예정자)는 농업경영체 등록 제외 |
|
개별경영체 | 농업인(후계농, 귀농인, 청창농 등 포함) | |
법인경영체 | 공통 | - 사업 신청시 설립 2년 이상 - 총 출자금이 1억원 이상* * [붙임4] 농업법인 지원요건 및 사후관리 기준 충족 (농림축산식품분야 재정사업관리 기본규정 제35조 제9항 관련 별표6) |
영농조합법인 | - 조합원이 5인 이상인 법인으로, 조합원 중 최소 5인 이상이 농업인 또는 농업생산자단체 | |
농업회사법인 | - 농업인 또는 농업생산자단체 주주의 출자지분이 총 출자액의 1/10 이상 |
□ 지원규모: 경영체별 총 1,000만원 이내 컨설팅비 지원(국비 900만원, 자부담 100만원)
* 1차 년도 심층컨설팅 : 국비500만원 + 자부담100만원
* 2차 년도 사후관리 : 국비400만원
□ 주요내용
- 신청자의 투자계획을 분석하고, 경영상황·기술수준 등 고려 시 가장 적합한 투자방식·내용과 방향, 필요한 역량 등 제시
- 농업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기술전문 컨설턴트와 경영전문 컨설턴트를 활용하여 컨설팅 진행
- 지원자의 영농상황·역량과 해당 투자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투자계획(투자방식 및 규모)의 적합성 여부 판단 및 사후관리(정기멘토링) 지원
3 | 추진일정 |
□ 추진일정(예정)
① 청년농 창업투자 심층컨설팅 지원사업 대상자 모집(~6.30.)
② 서면평가 및 사업대상자 선정(7.1.~7.31./20명 내외 선정)
- 서면평가 검증을 통해 선정된 농업경영체를 대상으로 한농대 교수(PM)와 컨설턴트가 해당 경영체를 방문하여 사전진단 실시 후 선정 통보
③ 창업·투자 심층컨설팅 진행(8.1.~10.31.)
- 경영·기술 분야 각 1명 이상의 컨설팅팀을 구성하여 농가 상황에 맞게 투자계획을 보완하고, 투자에 부합하는 역량 제시
* 3개월 동안 6회 이상 컨설팅을 진행(1회 방문 시 6시간 내외, 분야별 2회 이상 실시)
④ 투자 전·후 사후관리 진행(12.1.~'23.5.31.)
- (투자 전 정기멘토링, 12~'23년 2월) 사업투자시점 3개월 전, 월1회 이상 현장방문, 유선/메일 등으로 정기멘토링을 진행하여 투자 전 상황 점검, 상담 진행
- (투자 후 방문자문, '23년 3월~5월) 경영체가 투자를 개시한 후 3개월 동안 컨설턴트가 월1회 현장방문 실시하여 사후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
4 | 신청방법 |
□ 접 수 처: 한국농수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 접수방법: 이메일로 신청서류 제출 (이메일: yjy8526@af.ac.kr)
□ 접수기간: 2022. 5. 18. (수) ~ 6. 30. (목)
□ 제출서류
사업신청 관련서류 | 작성양식 | 비고 | |
공통 필수 |
1. 청년농 창업·투자 심층컨설팅 신청서 2. 청년농 2040 창업·투자계획서 |
붙임1 붙임2 |
|
3. 최근 2년 이상 작성된 재무제표(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등 경영장부 또는 회계장부 ※ 개별경영체 중 회계장부 기록 실적이 없는 경우, 사업지원 대상 선정 시 ‘농가경영장부’를 작성하고 사전진단 후 반드시 제출 |
사본 | 결산서로 대체 가능 | |
4. 농업경영체 등록증 | 등록증 사본 | 조직경영체 제외 | |
5. 국내외 규격 인증 및 표창*, 협약서 등 * 농산업분야 경진대회, 농식품부·지자체·농업 관련 공공기관·농업인단체에서 받은 수상만 인정 |
관련서류 사본 | 해당자는 필수 | |
개별 경영체 |
6. (공통) 농업교육* 및 경영교육(직무교육) 이수 확인서 ※ 귀농 및 후계농 관련 교육 이수 확인서, 농업계학교 졸업 증명서, 실무경험** 보유여부 확인서 *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지자체 및 그 소속기관, 직업교육훈련기관, 공공기관 등에서 주관 또는 인정한 농업교육으로 최근 3년 이내 실시한 것 단, 농업관련 온라인 및 사이버교육도 인정, 다만 50%만 인정하며, 최대 20시간까지만 인정 (예시: 온라인 교육 4시간은 2시간으로 산정하여 점수 부여) ** 인턴십, 농업법인 근무, 청년귀농장기교육, 선도농가 실습지원, 농협청년농부사관학교 |
확인서 사본 | 해당자는 필수 |
7. (귀농인) 주민등록등본, 농업인 확인서 | 확인서 사본 | 해당자는 필수 | |
8. (후계농) 후계농업경영인 확인서 | 확인서 사본 | 해당자는 필수 | |
법인 경영체 |
9. (공통) 법인 등기사항전부증명서 | 증명서 사본 | 해당자는 필수 |
10. (공통) 농업교육* 및 경영교육(직무교육) 이수 확인서 ※ 귀농 및 후계농 관련 교육 이수 확인서, 농업계학교 졸업 증명서, 실무경험** 보유여부 확인서 *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지자체 및 그 소속기관, 직업교육훈련기관, 공공기관 등에서 주관 또는 인정한 농업교육으로 최근 3년 이내 실시한 것 단, 농업관련 온라인 및 사이버교육도 인정, 다만 50%만 인정하며, 최대 20시간까지만 인정 (예시: 온라인 교육 4시간은 2시간으로 산정하여 점수 부여) ** 인턴십, 농업법인 근무, 청년귀농장기교육, 선도농가 실습지원, 농협청년농부사관학교 |
확인서 사본 | 해당자는 필수 | |
11.(농업회사법인) 출자금액이 표시된 출자자(주주) 명부 및 출자자 중 농업인 확인자료(농업경영체 증명서, 농업인 확인서) |
확인서 사본 | 해당자는 필수 | |
12.(영농조합법인)조합원명부 및 조합원 중 5인 이상의 농업인 확인자료(농업경영체 증명서, 농업인 확인서) | 확인서 사본 | 해당자는 필수 |
□ 선정우대 사항
구분 | 선정 우대 기준 |
개별경영체, 법인경영체 (공통) |
1. 여성CEO 경영 2. 6차산업인증사업자 3. 지적재산권 등 특허 출원 4. ISO, KS, JIS, UL, CE 등 국내외 규격 및 Q마크 등 품질인증 보유 5. 친환경농산물인증, 지리적표시등록, GAP인증, 가공식품산업표준KS인증, HACCP, 전통식품품질 인증, 유기식품인증, 동물복지축산농장인증, 저탄소농축산물인증, 술품질인증 등 농식품부 인증 보유 6. 농산업분야 실무경험 보유(산업분야 인턴십, 농업법인 근무, 청년귀농장기교육, 선도농가 실습지원, 농협 청년농부사관학교) 7. 각종 수상 및 표창 실적(농산업분야 경진대회, 농식품부/지자체/농업인단체/공공기관에서 받은 수상만 인정) |
법인경영체 | 1.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 대상자가 대표로 있는 법인 2. 모태펀드 투자 법인 3. 농어촌 사회공헌 인증기업 4. 전년도 대비 상시근로자 수가 증가하여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법인 |
개별경영체 | 1.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 대상자 2. 농업계학교 졸업생 |
□ 문의처: 한국농수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 063-238-9753)
아니 자부담 100만원이나 됩니다. 어이가 없습니다. 누구 머리에서 나온 사업인지 의문입니다.
솔직히 이런 사업은 컨설팅 업체 먹여살리는 사업 아닌가 싶네요. 컨설팅을 받아보면 좋은 내용이긴 하지만 그 값어치를 하는지는 의문입니다.
하지만 관련 지원사업을 받으려면 이 컨설팅이 필수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시간과 돈만 투자하는 컨설팅이 아니라 컨설턴트 사골까지 우려먹을 수 있도록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My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포나무 프로젝트 - 포포나무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6.08 |
---|---|
꼰대가 되어가는 것에 대한 고찰, 요즘 것들은 너무 버릇이 없다. (0) | 2022.05.30 |
2022년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 공모전 (0) | 2022.05.18 |
국가부도(발터 비트만)를 읽고 (0) | 2022.05.02 |
제2회 「서울 유니버설디자인 대상」 (0) | 2022.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