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93 [루미나] 자율주행에서 라이다 vs 카메라 논쟁 원본 출처: cafe.naver.com/actualinvest/98 자율주행 라이다 vs 카메라 논쟁의 역사 라이다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는 부분부터 짚고 넘어가고 싶다. 라이다 vs 카메라 논쟁이 아니라 실제론 "HD맵 vs 딥러닝" 논쟁에 가깝다. 라이다는 l... cafe.naver.com 요약본 1. 라이다 vs 카메라 논쟁이 아니라 실제론 "HD맵 vs 딥러닝" 논쟁에 가깝다. 2. 과거 구글 웨이모에서 자율주행을 가능하게한 핵심기술이 라이다localization + HD맵핑 기술이다. (미리 주행 환경을 가상에서 구축한 다음 실제 자동차를 그에 맞춰 자율주행 하게 만드는 것, 게임과 같은 방식임) 3. 2010년즈음 GPU컴퓨팅파워의 증가로 이전에 머신러닝에서 멸시받던 뉴럴네.. 2021. 1. 4. [바이두] 아크 인베스트 점검 호재하나 없음에도 지속적으로 매수하고 있다. 아마 실적 호조를 예상하는 측면도 있는 것 같다. (별로 기대하지는 않지만...) 다만 주목할 부분은 12월 29일 arkw에 신규편입되면서 대규모 매수 했다는 것이다. 그 후 30일에 arkk에서 또 다시 대량매수와 함께 종목 상승을 부추겼다. 바이두가 어떻게 4위로 되어 있는지 의문이지만, 그렇다고 역순으로 보기에도 좀 애매하다. (테슬라 꼴등으로 해 놓은 것 보니 기가찬다.) 바이두에서 뭐 하나 제대로 자율주행에 대해 공개한 것이 없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남들이 보고온 이런 그래프만 보고 참고해야 한다. 2021. 1. 4. [루미나] 2020년 마지막 주가 34로 마감, 간단한 소감 흥분 속에서 한해가 지나갔습니다. 사실 저는 10년동안 주식거래를 하면서 단 한번도 단일 종목에서 100%이상 수익을 낸 적이 없습니다. 항상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30~70%정도 차익실현하고 빠져나왔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아직 해외거래를 하기 전이지요. - 9월 24일 고어스 메트로폴로스와 루미나 합병 보도 - 9월 29일 포춘 임팩트 기업 선정 - 11월 5일 다임러와 협력 체결 - 11월 21일 모빌아이와 협력 체결 - 12월 5일 합병 - 12월 9일 시트론 저격(대규모 공매도 시작) - 12월 16일 모빌아이 배신 - 12월 17일 루미나 모빌아이 반박 발표 (관계 금 간 것은 확실함) - 12월 30일 테슬라 모델 y 루미나 라디아 장착 사진 유출 20년은 정말 예외적인 한해였습니다. 정말 5년.. 2021. 1. 2. [바이두] 차세대 중국 대표 성장주 1. “바이든 보란듯” 中, EU와 투자협정 체결 합의 협상 개시 7년 만…유럽 기업에 中 통신·금융·전기차 등 전례 없는 시장 개방 中, ‘동맹’ 중시 천명 바이든 행정부 예봉 꺾는다는 점에서 성과 출처: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16&aid=0001772646 “바이든 보란듯” 中, EU와 투자협정 체결 합의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중국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을 목전에 두고 거대한 시장과 막강한 경제력을 앞세워 유럽연합(EU)과 투자협정을 체결하는데 성공했다. 이에 따라 EU 등 news.naver.com 2. 이해하기 쉽게 비슷한 주식과 비교해보자 단순하게 사용자수만 비교해 봐도 말이 안 되는 시가.. 2020. 12. 31. 미국의 정치 분열 2편 오늘날 미국의 정치 양극화는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한 결과이다. 더군다나 이 요소들에 내재된 양극단적 입장에 서 있는 사람들의 ‘인지 편향’은 인간 심리의 정상적인 부분으로 단기적으로 극복해 내기가 쉽지 않다. 불합리성은 우리 주변에서 여전히 중요한 결정을 내릴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우리가 개인으로서 불합리하게 행동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우리는 향후 정치적 양극화에 대해 다음과 같이 예측을 내려 본다. 첫째, 의사결정권자들은 인지 편향에서 벗어나 ‘지적 겸손함’을 이용해야 하고, 미국 국민들은 국가의 미래를 위해 ‘두 번째 남북 전쟁’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데이비드 블랭켄혼은 “다른 의견에 개방적이고 그들에게 합리성을 부여하는 대화가 없다면, 진실, 관용, 시민성, 자기절제, 민주주.. 2020. 12. 31.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연장에 따른 방역조치 계획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연장에 따른 방역조치 계획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수도권 2.5단계, 비수도권 2단계 / 12.29일~1.3일)에 따라 지역 내 확산 방지 및 감염 차단을 위한 2단계 연장조치 추진 1 상황분석(12.27일 24시 기준) ○ (전국) 수도권(11.19일 1.5단계 / 11.24일 2단계 / 12.8일 2.5단계) 및 비수도권 (12.1일 1.5단계 / 12.8일 2.0단계) 거리두기 격상에도 최근 1주간(12.21일~27일) 국내 발생 하루 평균 확진자는 수도권 673.4명, 전국 984.0명으로 급격한 확산은 억제하고 있으나 뚜렷한 감소세는 보이지 않는 상황 - (연말연시 특별대책) ’21.1.3.(일)까지 요양병원 등 고위험시설과 모임·여행에 대한 방역을 전국적으로 강화.. 2020. 12. 31. [루미나] 테슬라 모델Y 라이다 부착 영상 출처: insideevs.com/news/462830/tesla-model-y-driving-peculiar-equipment-rack/ Tesla Model Y Spotted Driving With Strange Sensor Rack Up Top Will Tesla's Full Self-Driving vehicles have additional equipment and sensors? Will Tesla actually use LiDAR? Is this specific to future Robotaxis? insideevs.com 예전부터 나돌던 사진이지만, 어제 또다시 목격담이 트위터에 개죄되며 여론을 만들고 있다. 물론 모델Y에 저런식으로 달려있다고 해도 테슬라가 라이다를 쓸지는 의문이다. 아마 자.. 2020. 12. 30. [주식시장 읽기] 22. 역실적장세 기술적 지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코스피 평균의 200일 이동 평균선도 하락률이 작아지게 된다. 물론 거래량도 적고 일시적으로 증가하더라도 곧 감소한다. 주가의 반발과 거래량의 증가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기술적 지표를 자신하는 애널리스트도 장세 반등에 대한 확신이 좀처럼 서지 않는다. 이 국면에서 연초 이래 신고가 종목수는 적으나 신저가 종목수도 장세부진에 비해서는 적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 신저가 종목수의 감소는 코스피 평균 주가에 선행하여 바닥을 치기 때문에 주목하여 그 추세를 지켜봐야 한다. 매일 상승종목과 하락종목의 누적차수를 표시하는 등락비율도 평균주가에 선행하여 반등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충분히 체크해야 한다. 2020. 12. 29. [루미나] 그래프 및 거시경제 확인 1. 거시경제 확인 - 미국 통화량 지속적 증가(당분간 바이든이 집권하더라도 이 정책 기조는 변하지 않을 것, 민심잡기 및 기초기반 만들기) - 나스닥이나 종합지수가 10~15%정도 일시적으로 빠질 수 있으나 큰 변동성은 없을듯 하다. 2. 루미나 주가 - 보통 상태의 차트를 보여준다. (즉, 조금 더 하락하거나 상승해도 이상하지 않다는 뜻, 큰 폭의 변동성은 없을듯 하다.) - 물론 루미나는 다른 주식에 비해 변동 폭이 크긴하다. (나타나는 퍼센트에서 2분의 1로 바라보면 마음이 편하다.) - 볼린저 밴드 중단에서 한 번 더 지지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뚫고 내려오면 단기적 매도 신호, 물론 난 안 팔지만 20대까지 내려갈 수 있으니 마음의 준비를 해야 한다.) - 하락 중 거래량이 계속 줄고 있는.. 2020. 12. 29. 미국의 정치 분열 1편 남북전쟁 이후, 지금처럼 미국의 정치가 양극화된 경우는 없었다. 지정학적, 인구적, 기술적, 심리적 요인이 모두 결합된 이러한 양극화의 끝은 무엇일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미국인들이 2020년에 살고 있는 이 세계는 1990년대부터 최근까지 우리가 알고 있던 세계와 거리가 꽤 멀다. 점점 더 많은 미국인들이 ‘자신과 다른 진영에 있는 사람들’이 잘못 판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나쁜 사람들이라고 믿고 있다. 이 나쁜 사람들의 의견 또한 너무나 위험하게 잘못된 방향을 향하고 있고,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비상식적이라는 것이다. 왜 이렇게 극단적인 것일까? 미국의 정책연구기관 미국기업연구소(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아서 브룩스(Arthur Brooks) .. 2020. 12. 28.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8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