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72 거시경제학(장기총공급, 생산성 변화와 총공급) 공급 곡선에서 전 글에서 말했듯이 케인즈하구 고전이 막 싸운다. 그런데 확실히 고전이 뭔가 이상하다. 일단 현실에 안맞는다. 한번 현실하고 비교해보자. 먼저 화폐환상의 문제가 있다. 고전학파의 가정 중에 화폐환상이 없다고 했다. (빠지지 않는다고 했다. 정확히 말하면) 그런데 솔직히 계약할 때 누가 인플레이션 얼마나 될지 알겠는가? 계약은 적어도 6개월에서 1년이다. 그 기간동안 인플레이션을 예측할 수 없기에 당연히 화폐환상에 빠지게 된다. 예를 들면 물가가 5%오를거라 노동자가 "사장 우리 임금 5%만 올려줘" 했다. 사장도 그쯤 예상하고 "알았음^^" 이랬는데, 현실은 인플레이션이 10%가 올랐을 때 노동자 기분이 어떻겠는가! "이런 그지같은 세상..." 물론 이런 생각조차 못하겠지만, 이의 반대의 .. 2020. 9. 27. 거시경제학(물가결정모형, 한계노동생산, 노동의 공급공선) 여기서는 일반균형 모형의 필요성을 다룬다. 물가결정모형 1. 총수요곡선 (1) 총수요곡선의 도출 - 총수요곡선은 물가와 총수요측면에서 결정된 균형국민소득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곡선 - 총수요측면에서의 균형국민소득은 IS-LM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결정됨 - 즉, 물가가 변화할 때 IS-LM모형에서의 균형국민소득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통해 총수요곡선을 도출 - 물가가 오르면 같은 양의 통화를 가지고 살 수 있는 물건이 줄어듬 - 따라서 전과 동일한 물건을 사기 위해 수요되는 통화의 양이 증가함 - 즉, 물가가 오르면 그에 따라 통화수요가 증가하고 이것은 LM곡선을 좌측으로 이동시킴 - 그러면 균형국민소득은 줄어듬 - 물가가 오르면 통화수요가 증가하여 통화시장에서 이자율 상승 - 그러면 투자가 감소하여 총수요 감.. 2020. 9. 24. 이전 1 ··· 5 6 7 8 다음 728x90 반응형